고려대학교 교육학과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도서관
  • KUPID
  • 찾아오시는길
  • English

전공과목

교육과정학 (Curriculum Studies)

 

  1. EDU 572 공통필수 교육과정론(Studies on Compulsory Curriculum) [3]
  2. - 이론적 실제적으로 교육과정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온 주요 문헌을 숙독함으로써, 가치 있는 교육내 용에 관련된 이론적 문제의 성격과 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 는  시대·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이해한다.
  3. EDU 573 상이선택 교육과정론(Studies on Elective Curriculum) [3]
  4. - 주로 중등 후기 이후에 학습자의 능력, 적성, 진로 및 사회의 요구와 학업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 자 집단에게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특징, 목표, 설계 방식, 구현 방안 등을 탐구한다.
  5. EDU 626 교과 교육과정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on Subjects Curriculum ) [3]
  6. - 초중등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는 교과 교육과정의 특징, 지위, 성격, 역할, 목표, 내용 등을 상호 비교 종합 탐구한다.
  7. EDU 628 교육과정 연구 방법 탐구(Methodology for Curriculum Studies) [3]
  8. - 교육과정 연구에 필요한 양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탐구하여, 다양한 관점과 기법으로 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각종 연구논문작성에 필요한 컴퓨터를 활용한 통계처리 방법, 질적 자료 처리, 결과 분석 및 해석 등을 연구한다.
  9. EDU 635 교육과정기준 연구 개발론(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3]
  10. - 국가, 지역, 기관 수준에서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기준을 연구 개발하는 정책과 제도 및 구체적인 방안을 탐구한다. 
  11. EDU 721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Comparative Studies on School Curriculum) [3]
  12. - 세계 주요국의 학교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혁 동향, 교육과정 개발과 정책, 교과서 제도, 문제와 쟁점 등을 각국의 시대·문화적 배경에 비추어 이해하며, 특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선의 시사점이라는 측면에서 탐색한다.
  13. EDU 722 교육과정사(Historical Research on Curriculum) [3]
  14. - 이론적, 실제적으로 교육과정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온 주요 문헌을 숙독함으로써, 가치 있는 교육내 용에 관련된 이론적 문제의 성격과 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이해한다.
  15. EDU 723 교육과정과 학습자 연구(Curriculum Studies and Learner) [3]
  16. - 학습자의 발달, 적성, 능력, 진로와 교육과정 설계의 관계 및 학습자의 개인적·가정적·사회적 성장 배경과 교육과정 목표의 관계를 탐구한다.
  17. EDU 726 교육과정과 교수자 연구(Curriculum Studies and Teacher) [3]
  18. - 교수자의 개인적·집단적·사회적 발달, 능력, 역할, 교육가치관과 교육과정의 관계 및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를 탐구한다.
  19. EDU 881 대학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Curriculum) [3]
  20. - 대학교육과정의 개념, 개발절차, 운영 등에 관해 폭넓게 논의하고, 실제적인 연습을 한다.
  21. EDU 884 전문인 양성 교육과정론(Curriculum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3]
  22. - 학교교육제도 속에서 가장 고급 단계인 의사, 약사, 공학자, 법률가 등 전문인을 양성하는 교육과정 특징, 목표, 내용, 사례 등을 탐구한다.
  23. EDU 886 교육과정 정책론(Seminar on Curriculum Policies) [3]
  24. - 교육과정의 각종 존립 수준과 구성 영역에서 교육과정의 유지와 변화(축소, 확대, 신설, 폐지 등)에 관한 정책과 제도를 탐구한다.
  25. EDU 923 교재연구 개발론(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rricular Materials) [3]
  26. - 교육과정기준을 구체화하는 교과서, 지도서,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의 R&D 정책과 제도 및 생산과 보급 기제를 탐구한다.
  27. EDU 924 교육과정 운영 관리론(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3]
  28. - 교육과정 운영자로서 개발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보다 구체화하는 방안과, 교육과정 경영자로 서 전체 교육과정의 원활한 구현을 위해 교원수급, 학생수용, 시설 설비의 확충, 재정조달 등을 연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29. EDU 927 교육과정 평가연구 (Curriculum Evaluation) [3]
  30. - 교육과정의 각 존립 수준(학교, 지역, 국가), 구성 영역(교육과정 총론, 교과 교육과정, 특별활동 등), 변화 단계에 따라서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기본 틀과 원리 및 그 방법을 탐구한다.